source: behance.net
Attribution-NoDerivs-NonCommercial 4.0 International
Get the Image
Original image information:
1600 x 1600

Copyright citation:

Doosan HumanitiesTheater Series 2016New Imagi...

ByORDINARY PEOPLE SEOUL,JIN KANG,jaeha lee,jeongmin seo

LicenseAttribution-NoDerivs-NonCommercial 4.0 International

<p style="font-size: 12px;color:#aaa;">版权引用:<a href="https://www.behance.net/gallery/36257975/New-Imaginationon-the-Extended-Territory"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color:black;">“Doosan HumanitiesTheater Series 2016New Imaginationon the Extended Territory 한계에 갇혀 있기를 거부하고 그것을 넘으려는 모습, 알고 있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것을 찾아나가는 시도처럼 모험은 언제나 움직임을 보인다. 우리는 이 움직임을 ‘두산인문극장 2016: 모험’ 그래픽 아이덴티티의 메인 컨셉으로 삼았다.움직임이라는 추상적인 의미를 평면에 구현되는 시각 장치로 치환하기 위해서 우리는 움직인 것의 흔적이라는 컨셉을 걸었다. 인쇄매체 처럼 정지되어있는 매체에서 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한 여러가지 시각 효과들이 있을 수 있다. 하지만 우리는 이 프로젝트에서는 무엇인가가 움직여 나간 흔적이 만들어내는 궤적이 가장 합리적이며 시각적으로 새로운 방법이 된다고 판단했다. 위와 같은 판단하에 우리는 ‘두산인문극장 2016: 모험’의 주요 정보들을 이용해 브러쉬 툴을 제작했다. 이 브러쉬 툴을 활용해 매체 위에 움직여 나간 궤적을 그리면 주요 정보들이 흔적을 남기며 그대로 ‘두산인문극장 2016: 모험’의 그래픽 아이덴티티가 된다. 때문에 이 그래픽 아이덴티티는 항상 같은 모습으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각 매체의 크기나 비율에 따라 유동적으로 형태를 바꾸게 된다. 이는 본 시안의 컨셉인 움직임을 더욱 강하게 나타내며 이러한 장치들이 모여 ‘두산인문극장 2016: 모험’의 그래픽 아이덴티티는 완결된다. New Imagination on the Extended Reality was the title of the Doosan Humanities Theater Series 2016, the concept of which was aimed at depicting ‘Mo-heom’ (which means adventure in Korean) and a sense of movement. For us, “movement” refers to an attitude that refuses to stick wit......”</span> </a>由 <a href=""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color:black;">ORDINARY PEOPLE SEOUL,JIN KANG,jaeha lee,jeongmin seo</span></a> 授权许可 <span><a href="https://creativecommons.org/licenses/by-nc-nd/4.0/deed.zh" target="_blank" style="font-size: 12px;color:black;">Attribution-NoDerivs-NonCommercial 4.0 International<img src="" style="display: inline-block;height: 16px;width: auto;"></a></span></p>
<p style="font-size: 12px;color:#aaa;">版权引用:<a href="https://www.behance.net/gallery/36257975/New-Imaginationon-the-Extended-Territory"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color:black;">“Doosan HumanitiesTheater Series 2016New Imaginationon the Extended Territory 한계에 갇혀 있기를 거부하고 그것을 넘으려는 모습, 알고 있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것을 찾아나가는 시도처럼 모험은 언제나 움직임을 보인다. 우리는 이 움직임을 ‘두산인문극장 2016: 모험’ 그래픽 아이덴티티의 메인 컨셉으로 삼았다.움직임이라는 추상적인 의미를 평면에 구현되는 시각 장치로 치환하기 위해서 우리는 움직인 것의 흔적이라는 컨셉을 걸었다. 인쇄매체 처럼 정지되어있는 매체에서 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한 여러가지 시각 효과들이 있을 수 있다. 하지만 우리는 이 프로젝트에서는 무엇인가가 움직여 나간 흔적이 만들어내는 궤적이 가장 합리적이며 시각적으로 새로운 방법이 된다고 판단했다. 위와 같은 판단하에 우리는 ‘두산인문극장 2016: 모험’의 주요 정보들을 이용해 브러쉬 툴을 제작했다. 이 브러쉬 툴을 활용해 매체 위에 움직여 나간 궤적을 그리면 주요 정보들이 흔적을 남기며 그대로 ‘두산인문극장 2016: 모험’의 그래픽 아이덴티티가 된다. 때문에 이 그래픽 아이덴티티는 항상 같은 모습으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각 매체의 크기나 비율에 따라 유동적으로 형태를 바꾸게 된다. 이는 본 시안의 컨셉인 움직임을 더욱 강하게 나타내며 이러한 장치들이 모여 ‘두산인문극장 2016: 모험’의 그래픽 아이덴티티는 완결된다. New Imagination on the Extended Reality was the title of the Doosan Humanities Theater Series 2016, the concept of which was aimed at depicting ‘Mo-heom’ (which means adventure in Korean) and a sense of movement. For us, “movement” refers to an attitude that refuses to stick wit......”</span> </a>由 <a href=""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color:black;">ORDINARY PEOPLE SEOUL,JIN KANG,jaeha lee,jeongmin seo</span></a> 授权许可 <span><a href="https://creativecommons.org/licenses/by-nc-nd/4.0/deed.zh" target="_blank" style="font-size: 12px;color:black;">Attribution-NoDerivs-NonCommercial 4.0 International<img src="" style="display: inline-block;height: 16px;width: auto;"></a></span></p>